티스토리 뷰

반응형

출처: Unsplash

 

1.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효과

들깨유의 항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바라기유(SO), 들깨유(PO)를 THP-1 세포에 농도별(1∼40 ㎍/㎖)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해바라기유(SO) 처리군에 비하여 들깨유(PO) 처리군이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을 감소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들깨유가 백혈병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켜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1).

 

Fig. 1. Effect of oils on the cell viability in cultured THP-1 cells.

Samples(1~40 ㎍/㎖) were treated with cultured THP-1 cells, and incubated for 24 hrs, and the cells assayed by MTT method. The OD of each well was measured at 570 nm with a microplate reader. The data represents the mean±SD of 3 experiments. a-l; Data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p<0.05)

 

2. RT(Reverse Transcription) - PCR

상기의 결과들을 재확인하기 위하여 암억제유전자인 p53(17)유전자의 발현과 아폽토시스 pathway중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된 유전자인 Bax, Bcl-2(18)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THP-1 세포에 시료를 24시간동안 처리한 후 mRNA를 정제하고 유전자를 확인한 결과, p53유전자는 해바라기유(SO) 처리군보다 들깨유(PO) 처리군에서 조금 더 증가하였고, Bcl-2유전자는 들깨유(PO) 처리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Bax유전자는 약하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백혈병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결과라 시사된다(Fig. 2).

 

Fig. 2. Effect of oils on p53, Bcl-2, and Bax gene expression(RT-PCR).

THP-1 cells were treated with the indicated concentration of samples for 24 hours. Total RNA was isolated, and p53, Bcl-2, Bax mRNA expression was determined by RT-PCR. (C (+) ; cell treated with 10% DMSO in PBS)

 

3. Western blotting

최종적으로 상기의 백혈병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활성을 단백질발현 패턴으로 확인하고자 THP-1세포에 24시간동안 시료를 처리한 후 웨스턴 블로팅을 하여 apoptosis 관련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p53단백질은 해바라기유(SO) 처리군은 약하게 증가하였으나 들깨유(PO) 처리군이 3배까지 증가하였다(10 ㎍/㎖). Bcl-2는 PO처리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Bax는 약하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들깨유의 항암활성을 재확인하는 결과라 해석할 수 있다(Fig. 3).

 

Fig. 3. Effect of oils on p53, Bcl-2, and Bax expression(Western blot).

THP-1 cells were treated with the indicated concentration of samples for 24 hours. p53, Bcl-2, Bax and β-actin were assayed by Western blotting using specific antibodies. (C (+) ; cell treated with 10% DMSO in PBS)

 

4.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에 미치는 효과

NO의 과도한 생성은 염증반응의 주된 특징이다. RAW264.7세포에 시료와 LPS를 처리한 뒤 24시간동안 반응시키고, 24시간 뒤 상등액을 취하여 Griess ragent 시약을 처리해서 흡광도 측정을 하여 확인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들깨유(PO) 처리군에서 NO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4).

 

Fig. 4. Effect of oils on the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264.7 cells.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doses of samples(1∼10 ㎍/㎖) for 24 hrs. The 24 hrs-conditioned media were collected for NO2- assay. The results are mean±SD. Data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p<0.05)

 

5. 면역세포의 아집단에 미치는 효과

들깨유의 면역조절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ALB/c 생쥐에 시료를 4주간 경구투여 한 후 비장 및 흉선의 면역세포 아집단을 측정한 결과, 비장에서 B세포가 들깨유(PO)투여군에서 11.6% 증가하였고 T세포는 약 22%, 그중에서 TH가 19.2%, Tc가 31.8% 증가하였으며 흉선에서는 TH가 10%, Tc세포가 31.6% 증가하였다 (Fig. 5).

 

Fig. 5. Effects of oils on the lymphocytes subpopulation change in mouse splenocytes and thymocytes in vivo.

Oils was cadminis tered p.o. once a day for 28 days (SO, PO ; 10 ㎖/kg/day p.o.), thereafter cells were collected and the lymphocytes subpopulation was measured by a flow cytometer staining with PE or FITC conjugated anti B220/Thy1 or anti CD4/CD8 monoclonal antibody. The data represents the mean ± SD of 3 mice. (A) splenocytes (B) thymocytes. *: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group (p<0.05)

 

 

출처: 김동훈(2013). 들깨유의 항암 및 면역조절 효능 연구.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