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청단백질은 카제인(Casein)과 함께 유즙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 총 우유 단백질의 20%를 차지하며, 풍부한 아미노산 조성과 높은 생물가를 가지고 있다(Marshall K, 2004). 단백질의 기능적 · 영양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효소를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청단백질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펩타이드나 아미노산은 체내 대사율을 증가시키고 글루카곤을 일정한 속도로 분비시켜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도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단백질의 종류나 수준에 따른 비만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나, 유청단백질과 그 가수분해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비만은 산업화된 국가에서 가장 심각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주 선정 유청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 의약품안전처, 2015)에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로 등록되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균은 Lactobacillus 속 12 종, Lactococcus 속 1 종, Entrococcus 속 2종, Streptococcus 속 1 종, Bifidobacterium 속 4 종이 등록되어있으며, 이중 Bifidobacterium bifidum KCCM 12096, Bifidobacterium breve KCCM 11208, Bifidobacterium longum KCCM 11953, 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40265,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

가.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주 선발 1) 유산균수 측정 유산균수의 변화는 Richardson(1985)방법에 따라 시료 1.0mL 를 채취하여 멸균식염수에 십진 희석법으로 희석한 뒤 BCP 한천배지(Eiken chemical Co., Ltd., Shimotsuga, Japan)를 이용하여 평판배양법으로 37℃에서 24시간 배양하며 0, 6, 12, 18, 24 시간 간격으로 나타난 노란색 colony 수를 측정하여 log CFU (colony forming unit)/mL 로 나타내었다. 2) pH 및 산도 측정 pH 는 pH meter(iSTEK. Co. Ltd, Model pH-200L, Korea)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산도는 시료 10mL에 증류수 10mL 를 혼합하고 0.1N NaOH 용액으로..